한국 주식시장의 동시호가제도는 매매 참여자들의 매수·매도 호가를 일시에 집계하여 매매가를 결정하는 제도입니다. 동시호가제도는 1996년 1월 28일에 도입되었으며, 이후 주식시장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해 왔습니다.
동시호가의 시간
- 개장 전 동시호가 : 오전 9시 00분부터 9시 30분까지 30분간
- 폐장 전 동시호가 : 오후 3시 20분부터 3시 30분까지 10분간
동시호가에서 매매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매수호가와 매도호가가 일치해야 합니다. 만약 매수호가가 매도호가보다 높다면, 매수호가로 매수 주문이 체결되고 매도호가로 매도 주문이 미체결됩니다. 반대로 매수호가가 매도호가보다 낮다면, 매도호가로 매수 주문이 미체결되고 매수호가로 매도 주문이 체결됩니다.
동시호가제도의 장점
- 매매 참여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습니다.
- 매매 참여자 간의 경쟁을 촉진하고 시장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시장의 유동성을 증대하고 투자자들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동시호가제도의 단점
- 매매 참여자들의 정보 접근성 부족: 동시호가제도에서는 매매 참여자들이 매수·매도 호가를 모두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불공정 거래가 발생할 우려가 있습니다.
- 시장의 변동성 확대: 동시호가제도에서는 매수·매도 호가가 일시에 집계되기 때문에,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매 참여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하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매 참여자들에게 매수·매도 호가를 모두 공개하거나, 시장 변동성이 급격하게 확대될 경우 매매를 제한하는 등의 조치가 가능합니다.
'주식 투자 > 투자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버리지 상품을 오래 보유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3.10.22 |
---|---|
해외 주식시장 거래 시간 (0) | 2023.10.09 |
차트의 이동평균선이란? (0) | 2023.08.27 |
일봉, 캔들 차트 보는 방법 (양봉, 음봉) (0) | 2023.08.19 |